우리은행, 185억원 규모 소셜벤처기업 지원
2025-09-23

한국남부발전(이하 남부발전)은 정부의 ‘노동안전 종합대책’ 정책에 발맞춰 회사 안전 시스템을 더욱 강화하고, 이를 통해 현장 중심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23일 부산 본사에서 CEO 주관 ‘안전현안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CEO 및 경영진을 비롯해 전 사업소 간부들이 참석하여 안전을 최우선 핵심가치로 삼는 전사적 결의를 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사고 비중이 높은 협력사 근무자를 위한 협력사 안전관리 인력 및 비용 지원 ▲안전경영 책임 강화 및 수급업체 통합 안전평가 ▲중대재해 발생 시 최고 수준의 패널티 부여 등 주요 정부 정책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회사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했다. 회의에 앞서 민간 안전관리 선도기업인 삼성물산 건설 현장을 직접 방문해 벤치마킹을 시행했으며, 이날 회의에 삼성물산 윤동훈 상무를 초빙하여 안전 특강을 듣는 등 선진 안전 시스템 내재화에 힘썼다.
남부발전은 근로자가 위험을 인지했을 때 스스로 작업을 멈출 수 있는 ‘작업중지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해 자체 시스템을 운영하며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남부발전은 ‘세이프티 콜(Safety Call)’이라는 이름의 자체 작업중지권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익명 신고 제도’를 병행하여 근로자가 어떠한 신문 노출이나 불이익에 대한 걱정 없이 현장의 위험요소를 즉시 알릴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
나아가 10월부터는 매달 각 발전소에서 ‘안전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세이프티 콜’을 행사한 근로자를 ‘우수 안전인’으로 선정하고 포상하는 적극적인 장려책을 펼칠 예정이다. 위험을 보고하는 행동이 당연한 권리를 넘어, 칭찬과 포상을 받는 문화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이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올해 8월 말까지 약 150건의 작업중지권이 현장에서 사용된 것으로 집계됐다.
김준동 사장은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며, “근로자들이 현장의 안전 위해요소를 적극적으로 찾아내고 위험 현장을 피할 수 있는 권리인 작업중지권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회의는 정부 노동안전 정책을 포함한 다양한 현안을 점검하고 우리 회사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자리였다”라며, "모든 근로자가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사적 관심과 동참을 바란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로그아웃